본문 바로가기
IT 소식

2021년 5G 평가...커버리지는 LGU+, 속도는 SKT

by meeco.kr 2021. 8. 31.

과학기술정보통신부(이하 ‘과기정통부’)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(이하 ‘NIA’)은 2021년 5G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의 중간 결과를 31일 발표했다.

 

그 결과 5세대(5G) 커버리지는 LGU+가 가장 넓었고, 이용 가능 시설 수는 KT가, 속도는 SKT가 가장 빨랐다. 품질은 평균 808.45Mbps(다운로드 속도)로 전년('20.下) 대비 117.98Mbps 향상됐다. 85개 시 옥외 5세대(5G) 커버리지 면적은 평균 6,271.12㎢로 전년 대비 16%, 주요 다중이용시설 중 5G 이용가능 시설은 평균 3,707개로 전년 대비 33% 증가했다.

 

2021년 5G 서비스 평가는 크게 ➀커버리지 점검 및 ➁품질 평가로 나누어지며, 중간 결과는 다음과 같다.

5G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

5G / 통신사 SKT KT LGU+ 3사 평균
옥외 커버리지 5,674.79㎢  6,333.33㎢ 6,805.25㎢ 6,271.12㎢
다중 이용시설 3,923개 4,205개 2,992개 3,707개
지하철 총 835개 역사
고속철도 3사 평균 KTX 53개, SRT 51개
고속도로 3사 평균 94개 구


-85개 시 옥외 커버리지 3사 평균 6,271.12㎢

-서울‧6대 광역시는 임야 등을 제외한 도시지역 대부분 5G 구축

-78개 중소도시는 유동인구 밀집지역, 도심지역 등 주요 거주‧활동지역 위주로 5G가 구축
-LGU+ 6,805.25㎢, KT 6,333.33㎢, SKT 5,674.79㎢ 순
-통신사가 공개한 5G 커버리지 맵 정확성을 표본점검 결과, 과대표시되지는 않아

 

-주요 내부 다중이용시설 약 4,500여개 중 5G를 이용 가능한 시설 수는 3사 평균 3,707개(4월 기준).
-KT 4,205개, SKT 3,923개, LGU+ 2,992개 순

-주요 다중이용시설 내에서 5G 서비스에 안정적으로 접속 가능한 면적(5G 접속 가능 비율)은 96.00%, 20년 하반기90.99% 대비 개선

-지하철 전체 역사(지하역+지상역, 경전철 포함) 1,028개 중, 835개 역사 5G 구축(4월 기준)
-고속철도 KTX 전체 54개 역사 중 3사 평균 53개, SRT 전체 55개 구간 중 3사 평균 51개에 5G 구축(4월 기준).
-고속도로 주요 141개 구간 중 3사 평균 94개 구간에 5G 구축(4월 기준).


5G 서비스 품질평가 결과

5G / 통신사 SKT KT LGU+ 3사 평균
다운로드 속도 923.20Mbps 782.21Mbps 719.94Mbps 808.45Mbps
전년대비 향상 127.63Mbps 114.73Mbps 111.45Mbps 117.98Mbps
NIA 다운로드 속도 872.99Mbps 703.49Mbps 651.46Mbps 760.19Mbps
갤럭시S20+ 다운 속도 920.07Mbps 761.60Mbps 710.52Mbps 767.62Mbps
업로드 속도 평균 83.93Mbps
전년대비 향상 평균 20.61Mbps
5G->LTE 다운 전환율 1.17% 1.22% 1.26% 1.22%
5G->LTE 업 전환율 3사 평균 1.25%


-5G 다운로드 전송속도 3사 평균 808.45Mbps, 전년(690.47Mbps) 대비 117.98Mbps 향상
-5G 업로드 속도 평균 83.93Mbps, 전년(63.32Mbps) 대비 20.61Mbps 향상

-통신사 별 SKT 923.20Mbps(전년대비 127.63Mbps 향상), KT 782.21Mbps(114.73Mbps↑), LGU+ 719.94Mbps(111.45Mbps↑)

 

-이용자 NIA 측정앱 상시평가 결과 : 5G 전 기종에서 다운로드 속도 SKT 872.99Mbps, KT 703.49Mbps, LGU+ 651.46Mbps(전체 평균 760.19Mbps),
-정부평가와 동일한 기종(갤럭시 S20+)으로 측정한 결과만 반영 시, 다운로드 속도 통신사 별로 SKT 920.07Mbps, KT 761.60Mbps, LGU+ 710.52Mbps로(전체 평균 767.62Mbps), 정부평가 결과 근접

-5G → LTE 전환율 다운로드 기준 SKT 1.17%, LGU+ 1.22%, KT 1.26% 순 3사 평균 1.22%(전년 5.49%),

-5G → LTE 전환율 업로드 평균 1.25%(전년 5.29%)로 전년 대비 개선


세부 유형별 5G 서비스 품질

-유형별 평균 다운로드 속도의 경우, 옥외(행정동)는 779.98Mbps,

-다중이용시설 및 교통 인프라는 833.21Mbps, 주거지역은 829.10Mbps
-놀이공원(1,028.09Mbps) 등에서 상대적으로 속도 높아

-신규 추가한 대학교 주요 건물 내부(인빌딩)는 816.75Mbps
 -교통 인프라 중 지하철 역사 1,158.95Mbps, 지하철 객차 916.42Mbps, KTX 448.79Mbps 순

-2021년 평가대상으로 새로 포함된 주거지역, 2,000세대 이상 대규모 아파트 단지 중에서 표본 선정

-단지 내 5G 기지국이 구축된 아파트 877.74Mbps, 5G 구축이 어려웠던 아파트 440.05Mbps 수준

5G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는 5G 서비스의 객관적인 커버리지 및 품질 정보를 제공하고 망 투자 확대를 촉진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다. 2021년 5G 서비스 평가는 상반기 중간결과, 하반기 종합결과로 총 연 2회 결과를 발표하며, 평가 대상은 85개 시 전체 행정동으로 확대하고, 이용자 체감을 더욱 잘 반영하기 위해 △ 주거지역(대규모 아파트 단지), △ 대학교 건물 내부를 신규 측정 유형으로 포함했다.

728x90